반응형

한국사 공부 77

갑오개혁 2

1. 제 2 차 갑오개혁(1894. 12. 17 ~1895. 7. 7) ㄱ. 일본의 내정 간섭의 본격화 초기에 일본은 개혁에 소극적이였다. 그러나 1894년 9월 일본은 평양 전투의 승리로 청 · 일 전쟁에서 승세를 잡게 되자 조선에 대해 적극적인 간섭 정책을 취하여, 조선에 거물급 정치인 이노우에를 신임 공사로 파견하였다. ㄴ. 흥선 대원군 파면 개화파 관료들과 충돌이 잦고 농민군과 몰래 접촉하면서 개혁에 소극적이던 흥선 대원군을 정계에서 은퇴시켰다. 그리고 군국기무처를 폐지하고 갑신정변의 주동자로서 망명해 있던 박영효와 서광범을 귀국시킴으로서, 개혁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하였다. ㄷ. 제 2 차 김홍집 내각 성립 망명 중이던 박영효와 서광범 등이 귀국하고, 김홍집 · 박영효 연립 내각(친일 내각)..

한국사 공부 2022.04.21

갑오개혁 1

1. 일본의 내정 개혁 강요 ㄱ. 시대적 상황 동학 농민 운동의 진압을 핑계로 청 · 일 양국군이 조선에 들어왔으나 이미 정부와 동학 농민군 사이에는 전주 화약이 성립(1894)이 되어 외국 군대의 조선 주둔에 대한 명분은 사라졌다. ㄴ. 내정 개혁 강요 (1) 표면적 주장 조선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내란이 동양 평화에 중대한 위협이 되므로 조선에서의 내란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조선의 내정 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2) 내면적 의도 일본군의 조선 주둔의 명분을 찾고, 나아가서 청과의 전쟁 구실을 만들어 청의 세력을 조선에서 물리친 후, 조선에 대한 내정 간섭을 통해 경제적 이권 탈취와 함께 침략의 발판을 마련하려는 것이었다. (3) 일본군 철수 요구 일본은 조선에 대하여 내정 개혁을 요구하였으나, ..

한국사 공부 2022.04.20

동학 농민 운동 4

1. 제2차 농민 봉기(농민군의 재봉기, 반외세 · 항일 구국 투쟁 : 1894. 9~ 1895. 1) ㄱ. 원인 일본이 청 · 일 전쟁을 일으키면서 내정을 간섭하고 일본군이 농민군을 진압하기로 결정하였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위기의식을 느낀 농민군은 9월 삼례에서 반침략의 기치를 들고 다시 봉기하였다. ☆ 청 · 일 전쟁(1894~1895)의 결과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시모노세키 조약을 맺어 조선에 대한 청의 종주권을 철회하게 하고, 랴오둥 반도와 타이완을 할양받고 중국의 개항장에서 일본인의 기업 활동을 보장받았다. 이로써 일본은 조선에 대한 배타적 지배가 가능했을 뿐만 아니라 중국에까지 뻗쳐 제국주의 열강의 대열에 합류하게 되었다. ㄴ. 동학 교단 가담 전봉준은 삼례에 동도 창의소를 설치하고, 전라도..

한국사 공부 2022.04.19

동학 농민 운동 3

1. 제 1차 농민 봉기(동학 농민 운동의 절정기, 반봉건적 : 1894. 3. ~5.) ㄱ. 원인 안핵사 이용태가 봉기의 모든 책임을 동학 탓으로 돌리고 봉기 가담자를 폭도로 몰아 가혹하게 처벌하자, 농민들의 분노가 다시 폭발하였다. ㄴ. 무장 봉기(1894. 3. 20) 고부 농민의 해산 이후 안핵사 이용태의 횡포를 지켜본 전봉준은 전라도에서 가장 큰 동학 교세를 가진 손화중이 있던 무장(전북 고창)으로 찾아가 함께 농민군을 조직하여 대규모로 봉기하였다. 그리고 고부를 공격하여 다시 점령하였다. (3. 23) ㄷ. 백산 집결(1894. 3. 25) 전라도 각지의 농민들로 구성된 동학 농민군은 백산에 집결하여 호남의 창의소를 조직하고 전봉준을 창의 대장으로, 손화중과 김개남을 부대장인 총관령으로 하는 ..

한국사 공부 2022.04.18

동학 농민 운동 2

1. 동학 농민군의 봉기 ㄱ. 교조 신원 운동 (1) 목적 동학의 교세가 확장되고 동학 교도들의 활동이 활발해져 동학이 커다란 사회 세력으로 확대되자, 동학 교도들은 1892년부터 충청도 공주, 전라도 삼례, 서울 등지에서 대중 집회를 열고, 처형당한 교조 최제우릐 억울한 누명을 풀어 줄 것과 동학에 대한 탄압을 금지하고, 포교의 자유를 인정하라고 요구하기 시작하였다. (2) 교조 신원 운동의 전개 ㉠ 삼례 집회(1892. 11) 제1차 신원 운동으로 전라도 삼례역에서 손천민의 지휘 하에 교조 최제우의 죽음에 대한 신원의 복위와 동학 교도에 대한 지방관의 탄압을 중지하고, 신앙의 자유를 인정할 것과 관리들의 부당한 수탈을 중지할 것 등을 충청 감사 조병식과 전라 감사 이경직에 호소하였다. 그러나 교조의 ..

한국사 공부 2022.04.15

동학 농민 운동 1

1. 농민층의 동요와 동학의 확산 ㄱ. 지방관의 수탈 흥선 대원군이 물러난 후 정치 기강이 극도로 문란해져 지방관의 매관매직이 성행하였다. 관직을 산 수령들이 가혹하게 농민들을 수탈하면서 다시 삼정이 문란해졌고, 이에 농민들이 반발하여 1880년대부터 농민 봉기가 전국 곳곳에서 일어났다. ㄴ. 외세의 경제 침탈 임오군란 이후 내륙 시장에까지 진출한 청 · 일 상인들에 의해 영국산 면직물 등이 싼값에 쏟아져 들어오면서 부업으로 면포를 짜서 팔던 농민들의 토착 수공업은 큰 타격을 받았다. ㄷ. 농민의 조세 부담 증가 어려운 국가 재정을 메우기 우해 발행된 당오전이 남발되어 물가가 크게 올랐다. 여기에 개화 정책의 추진, 각종 배상금의 지불 등에 따른 정부의 지출이 늘어나 농민들의 조세 부담이 커졌다. 이로써..

한국사 공부 2022.04.14

조선 중립론의 대두

1.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 ㄱ. 청 · 일의 대립 격화 개항 이래 조선을 둘러싸고 전개된 열강의 정치적 · 경제적 · 군사적 침략 경쟁은 갑신정변 이후에 더욱 가열되어, 청국과 일본 간의 침략적 대립은 격화되었고, 러시아와 영국까지도 조선 문제로 충돌하였다. ㄴ. 청의 정치 · 경제적 간섭 강화 (1) 정치적 간섭 막강한 권한을 부여받고 서울에 다시 돌아온 청의 위안스카이는 조선으 청의 속방으로 만들기 위해 조선의 내정과 외교에 간섭하고, 일본과 서구 열강의 침투를 견제하였다. (2) 경제적 침투 위안스카이의 보호 아래 청 상인들은 서울과 지방을 휩쓸며 이득을 취하였고, 서울 한복판에 중국 상가를 조성하여 장사를 하였다. ㄷ. 외교 고문 교체 청은 독일인 묄렌도르프를 외교 고문으로 추대하였으나, 그..

한국사 공부 2022.04.13

갑신정변 2

1. 갑신정변의 경과 ㄱ. 우정총국 사건 1884년 10월 17일 김옥균을 중심으로 한 급진 개화파는 홍영식이 총판으로 있던 우정총국 건물 완공 축하연을 이용하여 정변을 일으켰다. 민씨 정권의 고위 관료들을 살해하고, 일본 공사관 경비병을 지원받아 정권을 장악해 새 내각을 발표하였다. 고종을 창덕궁에서 경우궁으로 옮기고 개화당 정부를 수립한 뒤 각국의 외교관들에게 통고하고, 국왕과 함께 창덕국으로 돌아와 14개조의 정강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근대적 국가 수립을 위한 개혁 정치를 추진하였다. ※ 14개조 정강 1. 청에 잡혀간 흥선 대원군을 곧 돌아오게 하며, 종래 청에 대하여 행하던 조공의 허례를 폐지한다. 의미 : 대원군 송환, 청에 대한 사대 관계 폐지 2. 문벌을 폐지하면 인민 평등의 권리를 세워,..

한국사 공부 2022.04.12

갑신정변 1편

1. 개화당의 형성과 갈등 ㄱ. 개화파의 형성 (1) 정치 세력화 개화 사상의 선각자인 박규수, 오경석, 유홍기 등으로부터 지도를 받은 김옥균, 박영효, 유길준 등이 개항을 전후해 점차 하나의 정치세력으로 성장하여 개화파를 이루었다. (2) 정계 진출 개화파는 개항 이후 1880년대에 들어 정계에 진출하여 정부의 개화 정책을 적극 뒷받침하고 개혁 운동을 추진하였다. ㄴ. 개화파의 두 흐름 (1) 개화파의 분화 원인 1882년 임오군란이 진압된 후 개화에 반대하던 대원군 중심의 정치세력은 약화되었다. 이때 청은 조선에 군대를 계속 주둔시키면서 조선을 속국으로 지배하려고 내정 간섭을 강화하였다. 당시 민씨 세력은 청에 더욱 의지하며 친청 정책을 펼칠뿐, 개화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 ..

한국사 공부 2022.04.11

임오군란(임오년에 군대가 난을 일으켰다)

1. 임오군란의 발발 ㄱ. 원인 (1) 국가 재정의 고갈과 물가 상승 개화 정책이 추진되면서 정부의 재정 지출이 늘어나 국가 재정이 고갈되었다. 게다가 개항 후 외국 상품이 무차별 유입되고, 일본의 경제적 침탈로 인해 쌀, 콩 등 곡물이 일본으로 유출되고, 흉년까지 겹치면서 곡물 가격이 폭등하였다. (2) 구식 군인과 하층민의 불만 그러자 구식 군인들의 급료가 밀리고, 일반 서민과 하층민의 생활이 어려워지자, 이들 사이에 외세와 정부에 대한 불만이 높아 갔다. 이와 같이 정부의 개화 정책 추진과 외세의 침략에 대한 반발은 양반 유생들뿐 아니라 구식 군인과 서울의 하층민들 사이에서도 나타났다. (3) 별기군 창설 정부는 개화 정책의 일환으로 구식 군대를 줄여 없애고, 일본식 군사 제도를 도입하여 신식 군대..

한국사 공부 2022.04.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