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사 공부 77

조선의 정치 2편 (붕당 정치 1)

1. 붕당의 시대적 배경 ㄱ. 사림 세력의 성장 선조가 즉위하면서 그동안 향촌에서 세력 기반을 다져오던 사림 세력이 대거 중앙 정계로 진출하여 정국을 주도하게 되었다. 훈구 대신들이 중앙 정계에서 사라지게 되면서 정치는 예전과 다르게 운영되었다. 언론을 담당하는 관청의 활동이 훨씬 자유로워져, 관직이 낮아도 나랏일을 비판할 수 있게 되었다. 여론을 수집하여 정책에 반영하고자 노력하였고 올바른 정치가 무엇인지 찾으려는 연구도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ㄴ. 사림 세력 내의 갈등 ①원인 선조(1567~1608)때에 이르러 명종(1545~1567) 때의 외척 정치의 잔재를 청산하는 문제를 둘러싸고 사림 간의 갈등이 일어났다. 즉, 사림 세력은 외척 정치의 잔재 청산을 놓고 훈구라도 믿을 만한 인물과는 협력해야 한다..

한국사 공부 2022.03.17

조선의 정치 1편

1. 훈구파와 사림파 ㄱ. 훈구파 (1) 성립 고려 말 유교적 이상 국가 건설을 꿈꾸었던 급진 개혁파 신진 사대부들은 조선 건국 이후 개국 공신이 되어 조선의 정치와 사회를 이끌면서 지배 세력으로 뿌리를 내렸다. 이들은 공훈을 인정받거나 왕실과 혼인하여 세력을 강화하였는데, 뒤에 사림이 등장하면서 훈구라고 불렀다. (2) 특성 세조 이후의 공신들과 그 후예들로 중앙 정부의 요직을 차지하고 실권을 장악한 훈구 세력은 유교적 정치 이념을 바탕으로 중앙 집권적 부국강병을 추구하였다. 이들의 노력으로 민족적이며 자주적인 성격의 민족 문화가 발전하였다. 이처럼 훈구 세력은 조선 초기 각종 제도와 문물을 정비하는 데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특권 세력으로 변모하였다. 특히, 세조의 집권에 협력한 ..

한국사 공부 2022.03.16

조선 왕들의 정책 4편(세조,성종)

1. 세조(1455~1468) ㄱ. 세조의 집권 세종 이후 병약한 문종(1450~1452)이 일찍 죽고 나이 어린 단종이 즉위하면서 왕권이 크게 약화 되었고, 정치의 실권은 김종서, 황보인 등 재상에게 넘어갔다. 이에 수양대군은 정변을 일으켜 김종서 등을 몰아내고 왕위에 올랐다. ※역사알기 계유정난(1453) 수양대군이 한명회, 권람 등과 쿠테타를 일으켜 단종의 보좌세력인 원래 대신 황보인, 김종서 등 수십 명을 살해, 제거하고 정권을 잡은 사건이다. 이를 계기로 수양대군은 정권과 병권을 잡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정난공신과 좌익공신이란 훈호를 공신들에게 부여하였다. ㄴ. 단종 복위 운동 수양대군 추종 세력인 정인지, 신숙주 등에 의해 1455년에 수양대군이 왕으로 추대되고 단종이 폐위되자 사육신(성삼문..

한국사 공부 2022.03.15

조선 왕들의 정책 3편 (세종대왕)

1. 세종(1418~1450) ㄱ. 세종의 유교 정치 (1) 집현전 설치 궁중 안에 정책 연구 기관으로 집현전을 설치하여 학자를 양성하고, 이들에게 각종 의례와 제도를 정리하게 하는 편찬 사업을 추진하여, 새 나라가 지향할 이상적인 국가의 모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 의정부 서사제 부활 왕도 정치를 실현하기 위하여 경연을 중시하고, 의정부의 정책 심의를 강화하는 의정부 서사제를 시행하였다. 이처럼 세종은 6조 직계제를 폐지하고 의정부 서사제로 정치 체제를 바꿔 왕의 권한을 의정부에 많이 넘겨주면서, 훌륭한 재상들을 등용하여 정치를 맡기고자 하였다. (3)왕권과 신권의 조화 왕의 권한을 의정부에 많이 넘겨주면서도 인사와 군사에 관한 일은 세종이 직접 처리함으로서 왕권과 신권의 조화를 이루었다. (4)..

한국사 공부 2022.03.14

조선 왕들의 정책 2편(태종 이방원)

1. 제 3대 태종(1400~1418) (1) 왕권 강화 ㄱ. 국왕 중심의 통치 체제 정비 재상 중심 정치에 불만이 있었던 이방원(태종)은 두 차례의 왕자의 난을 통하여 어린 세자와 신권을 강조하는 정도전을 제거하고, 정종이 선위를 하여 왕위에 올랐다. 이 과정에서 개국 공신 세력 간의 갈등이 일단 정리되었다. 이어 태종은 국왕 중심의 통치 체제를 정비하여 왕권을 안정시키고 국가 기반을 굳건히 하고자 하였다. ㄴ. 6조 직계제 실시 도평의사사를 없애고 의정부를 두면서 그 정치적 권한을 약화 시켰다. 그리고 국왕이 6조를 통해 크고 작은 나라 일을 직접 결정하고 집행하게 하는 6조 직계제를 채택하여 재상들의 권한을 약화시켰다. ㄷ. 사간원 독립 언론 기관인 사간원을 독립시켜 대신들을 견제하게 해, 언관과 ..

한국사 공부 2022.03.12

조선 왕들의 정책 1편(태조 이성계, 정종)

1. 제 1대 태조(1392~1398) (1) 조선 건국의 정당성 강조 조선을 건국한 신진 사대부와 태조는 여러가지 제도를 정비하여 새로운 나라를 건설해 고려의 그늘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왕실의 권위를 높이기 위하여 새 국가가 하늘의 명을 받고 백성들의 지지를 받아 세워졌음을 강조하고, 모든 권력을 중앙으로 집중시켜 통치 질서를 확립하고,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켜 나갔다. (2) 국호 제정과 천도 나라 이름을 조선으로 선포하여 고조선의 후계자임을 자처하고, 새 나라의 면모를 갖추기 위하여 교통과 국방의 중심지인 한양으로 도읍을 옮겼다(1394). 한양은 국토의 중앙에 위치하였을 뿐만 아니라 한강을 통해 전국의 물자를 모을 수 있어 수도로서 적합하였다. 이로써 고려의 구질서를 유지하면서 재상 주도의 도평..

한국사 공부 2022.03.11

조선의 건국

1. 고려 말의 정치 상황 (1) 권문세족의 횡포 고려 말기 친원파 권문세족이 문란하여 정치권력을 독점하고, 불법적인 방법으로 대토지를 소유해 농민을 편입시켜 광대한 농장을 경영하였다. 농장은 면세, 면역의 특권이 있었기 때문에 권문세족의 농장이 확대되면서 국가 재정은 점차 약화되어갔고, 불교 사원마저 권문세족과 결탁하여 농민을 수탈하였다. 그로 인해 백성들의 생활은 극도로 어려워졌고 정치 기강은 문란해졌다. 그 가운데 공민왕의 개혁 정치는 원의 압력과 권문세족의 방해로 실패하였다. (2) 신진사대부의 성장 고려 후기 권문세족과 대립하며 성장한 신진 사대부들은 공민왕의 개혁 정치에 참여하면서, 성균관을 중심으로 세력을 결집시켰다. 이들은 홍건적과 왜구의 침략을 격퇴시키며 부상한 신흥 무인 세력인 이성계와..

한국사 공부 2022.03.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