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사 공부 77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1.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의 활동 ㄱ. 정부 수립의 추진 (1) 배경 미 · 소 공동 위원회가 실패로 돌아가자 미국과 소련은 각기 남북한에서 별도의 정부를 세우는데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2) 북한 소련은 북한에서 공산주의자들에 의한 사실상의 정부를 세워 통치 체제를 확립하였으며, 이를 남한으로 확대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므로 광복 이후 공산당을 중심으로 하는 공산주의 활동은 점점 무력 투쟁의 양상을 보여주게 되었다. (3) 남한 이승만 등의 정치 지도자들은 시급히 독립 국가를 수립하여 모든 국민의 열망을 성취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ㄴ. 한국 문제의 유엔 상정 (1) 한국 문제의 유엔 이관 미 · 소 공동 위원회의 결렬로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에서 통일 정부를 수립하는 문제에 관해 의견을 달리하게 되..

한국사 공부 2022.06.09

신탁 통치 문제와 좌 · 우 합작 운동

1. 군정하의 남북한 문제 ㄱ. 남한의 정세 (1) 미군정의 출범(1945. 9. 9) 남한에 진주한 미군 사령관 하지 중장이 군정을 선포하고 아놀드 소장이 군정 장관에 취임하였다. 미군은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의 활동과 조선 인민 공화국 수립을 부정하고, 대한민국 임시 정부마저 인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일제의 조선 총독부 체제를 그대로 유지하여 친일파가 미군정에 참여하게 되는 한계성을 초래하였다. 3년간의 미군정의 실시로 남한에는 미국식의 민주 정치 체제도, 개인주의적 사고방식, 자본주의 생활 방식 등이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2) 정당의 난립과 대립 미군정 하에서 남한의 정국은 수많은 정치 단체들의 난립과 좌우익 세력 간의 대립으로 혼란을 거듭하였다. ㉠ 한국 민주당(1945. 9. 16) 송진우, 김..

한국사 공부 2022.06.05

8.15 광복,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와 국토의 분단

1. 광복 직전의 건국 준비 활동 ㄱ. 배경 그동안 국내외에서 민족의 독립을 쟁취하기 위하여 노력하던 우리 민족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의 패전을 확신하고 건국을 준비해 왔다. ㄴ. 국외에서의 건국 준비 활동 (1) 대한민국 임시 정부 ㉠ 한국 독립당 결성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민족주의 계열의 조소앙의 한국 독립당, 김구의 한국 국민당, 지청천의 조선 혁명당 등의 독립 운동 단체들을 한국 독립당으로 통합하여 그 지지 기반을 강화하였다. ㉡ 대한민국 건국 강령의 제정 · 공포 임시 정부의 기초 정당인 한국 독립당에서 일본의 패망하여 대비하여 조소앙이 제창한 삼균주의(정치 · 경제 · 교육의 균등)를 채택하여 1941년에 제정 · 공포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보통 선거를 통한 민주 공화국의 수립, 홍익인..

한국사 공부 2022.06.04

한국 광복군 창설

1. 한국 광복군 창설 ㄱ. 본격적인 항일 투쟁 준비 그 후 임시 정부의 김구, 지청천 등은 만주와 시베리아에서 항전하던 신흥 무관 학교 출신의 독립군과 중국 대륙 각 처에 흩어져 있던 무장 투쟁 세력을 모아 정부 요인과 중국 정부 요인이 다수 참석한 가운데 충칭에서 지청천을 총사령관으로 하는 한국 광복군을 창설하였다(1940. 9. 17). ㄴ. 모병 활동 한국 광복군은 꾸준한 모집 활동을 통해 1941년에는 약 300명의 대원을 확보하였다. 모병 활동은 주로 한인이 많이 살고 있는 화북 지역과 장시성 등의 중국 남부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ㄷ. 미주 지역 한인들의 지원 미주 지역 한인은 지리적으로 멀어 무장 투쟁이나 의열 투쟁 등을 하기가 어려웠지만, 재정 지원 활동과 선전 및 외교 활동을 활발히 벌였..

한국사 공부 2022.06.03

대한 민국 임시 정부의 이동

1.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재정비와 이동 ㄱ. 재정비의 전기 국민대표회의(1923) 실패 이후 어려움을 겪던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이봉창의 일왕 저격 의거(1932. 1)와 윤봉길의 상하이 의거(1932. 4)를 계기로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 ㄴ. 임시 정부의 이동 그러나 윤봉길 의거 이후 일제의 공격이 강화되자 이를 피해 상하이(1919)를 떠나 저장성 항저우(1932)로 이전하였다. 이 시기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중국 국민당의 원조금과 미주 지역의 교민들이 보낸 애국 의연금으로 재원을 마련하였다. 중 · 일 전쟁 중(1937) 일본군이 항저우를 침략하자,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난징 → 항커우 → 창사(1937) → 헝양 → 광저우(1938) → 류저우(1938) → 구이양(1939) → 치장(1939..

한국사 공부 2022.06.02

민족 혁명당과 조선 의용대

1. 중국 관내의 민족 운동 ㄱ. 민족 연합 전선 추진 (1) 일제의 중국 침략 본격화 만주 사변과 일제의 만주 점령으로 대일 전선이 화북 지방으로 옮겨짐에 따라 중국 관내는 무장 투쟁의 주요 거점으로 떠올랐다. 여기에 만주에서 활동하던 무장 독립운동 단체까지 내려오면서 중국 관내 독립운동 단체들은 대일 항전을 적극적으로 펼치기 위해 민족 연합 전선을 추진하였다. (2) 민족 연합 전선 형성 당시 중국 관내에는 의병 운동가, 무정부주의자, 공산주의자 등 다양한 성향의 독립 운동가들이 활동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 관내 대표적인 독립운동 세력이었던 한국 독립당과 의열단을 중심으로 항일 전선을 하나로 통합하려는 여러 차례의 노력이 있었는데, 그 성과로 나타난 것이 1935년 난징에서 창당된 민족 혁..

한국사 공부 2022.06.01

의열단과 한일 애국단

1. 의열 투쟁의 전개 ㄱ. 의열 단체 결성 3 · 1 운동 이후 해외에서 활동하던 독립 운동가들은 독립 쟁취를 위해 보다 강력한 무장 조직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따라 많은 독립군 부대가 만들어졌고, 소수의 의사와 열사들로 구성되어 일제 요인 암살이나 식민지 기관 파괴를 시도하는 의열 단체가 결성되었다. ㄴ. 의열단(1919) (1) 조직 3 · 1 운동 이후 일제의 지배에 맞서 항일 사상을 높이고 폭력 투쟁을 벌여 일제를 타도하기 위해 1919년 11월 만주 길림성 파로문에서 김원봉, 윤세주 등 13명이 의열단을 조직하였다. (2) 활동 조직의 형태를 철저히 비밀에 부친 비밀 결사로 일제의 감시망을 피해 일정한 곳에 본부를 두지 않고 베이징, 상하이 등 중국 관내로 옮겨 다니면서 활발한 투쟁을..

한국사 공부 2022.05.31

만주 사변(1931)과 국외 민족 운동

1. 한 · 중 연합 작전 전개 ㄱ. 배경 1931년에 만주 사변을 일으킨 일제가 이듬해 괴뢰 정권인 만주국을 수립한 이후 만주 일대를 장악하고 수탈을 강화하자, 만주 지역에서 일제는 우리나라와 중국의 공동의 적이 되었다. 이에 만주의 독립군 부대는 반일 감정이 높아진 중국인 부대와 연합하여 반일이라는 공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대일 항전을 추진하였다. 이 무렵 만주에서는 3부 통합 운동의 결과로 조선 혁명당과 한국 독립당이 결성되었고, 그 산하에 민족주의 계열의 독립군인 조선 혁명군과 한국 독립군이 편성되었다. ○ 만주 사변(1931) 일제가 만보산 사건을 배후 조종하고 만주 사변을 일으킨 후 부의를 맹주로 하는 만주 제국을 건설하여 중국 동북 지방(만주)을 점령한 사건이다. 이를 계기로 중국 내에서 ..

한국사 공부 2022.05.28

독립군의 시련, 재정비

1. 간도 참변(경신참변, 1920) ㄱ. 배경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에서 대패한 보복으로 일제는 1920년 10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독립군 기지 기반을 무너뜨리기 위해 간도의 한인 마을에 들어가 독립군은 물론 만주에서 사는 한국인을 잔인하게 학살하고 마을을 초토화시켰다. ㄴ. 피해 독립군의 근거지를 없앤다는 명분으로 일본군은 간도 일대에서 동포 1만여 명을 무차별 학살하고, 민가 2,500여 채와 학교 30여 채를 불태웠다. 2. 대한 독립 군단(1921. 4) ㄱ. 결성 독립군의 거듭된 승리로 사기가 충천해 있던 만주의 한민족에 대해 일본군은 한인촌에 대한 대량 학살과 방화, 약탈, 파괴를 자행하고 독립군을 토벌하려는 간도 참변을 일으키자 독립군 부대들은 한때 각지로 분산하여 대오를 재정비하였고..

한국사 공부 2022.05.27

봉오동 전투(1920. 6)와 청산리 대첩(1920. 10)

1. 독립군의 무장 독립 전쟁 ㄱ. 배경 (1) 무장 투쟁 선회 3 · 1 운동 당시 일제의 무자비한 탄압이 있은 후 민족 지도자들은 비폭력 항일 운동으로는 독립을 쟁취할 수 없다는 것을 자각하고, 조국 광복을 달성하기 위해서 비폭력 항일 운동의 방식을 지양하고 조직적인 무장 독립 전쟁을 전개하였다. (2) 무장 항전 준비 3 · 1 운동을 계기로 만주 등지에서 활동하던 민족 지도자들은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무장 독립군을 편성하고 동포들이 제공한 자금을 바탕으로 무기를 구입하여 항전을 준비하였다. ㄴ. 무장 독립군의 활동 (1) 국내 진공 작전 독립군은 압록강과 두만강을 건너 평안도와 함경도 일대의 일제 식민지 통치 기관을 습격, 파괴하고 추격해 오는 일본 군경과 치열한 전투를 전개하였다. 그리고 군자금..

한국사 공부 2022.05.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