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공부

동학 농민 운동 1

후니 NO.1 2022. 4. 14. 21:02
반응형

1. 농민층의 동요와 동학의 확산

ㄱ. 지방관의 수탈

흥선 대원군이 물러난 후 정치 기강이 극도로 문란해져 지방관의 매관매직이 성행하였다. 관직을 산 수령들이 가혹하게 농민들을 수탈하면서 다시 삼정이 문란해졌고, 이에 농민들이 반발하여 1880년대부터 농민 봉기가 전국 곳곳에서 일어났다.

ㄴ. 외세의 경제 침탈

임오군란 이후 내륙 시장에까지 진출한 청 · 일 상인들에 의해 영국산 면직물 등이 싼값에 쏟아져 들어오면서 부업으로 면포를 짜서 팔던 농민들의 토착 수공업은 큰 타격을 받았다.

ㄷ. 농민의 조세 부담 증가

어려운 국가 재정을 메우기 우해 발행된 당오전이 남발되어 물가가 크게 올랐다. 여기에 개화 정책의 추진, 각종 배상금의 지불 등에 따른 정부의 지출이 늘어나 농민들의 조세 부담이 커졌다. 이로써 개항 이후 농민들의 생활은 더욱 악화되었다.

ㄹ. 일본의 경제적 침투

(1) 경제적 입지 강화

개항 이후 조선에 가장 먼저 침략의 손을 뻗친 일본 세력은 청치적인 면에서는 임오군란과 갑신정변을 통하여 청국에 밀려 크게 약화되었으나, 경제적인 면에서는 오히려 청국보다 강세를 유지하였다.

(2) 중계 무역을 통한 폭리

일본 상인들은 처음에는 청국 상인들과 마찬가지로 주로 영국의 면제품 등을 싸게 사다가 비싸게 파는 중계 무역을 하였으나, 점차 자국 제품으로 대치하여 막대한 이익을 취하였다.

(3) 일본의 무역 독점

당시, 일본에 대한 조선 수출품은 미곡이 30% 이상을 차지하였는데, 일본 정부의 정치적 비호를 받은 일본 상인들은 조선 농민의 가난한 형쳔을 이용하여, 입도선매나 고리대의 방법으로 곡물을 사들여 폭리를 취하였다.

(4) 일본의 어업 침투

조 · 일 통어 장정(1889년) 체결해 일본 어민의 제주도 및 본토 근해에서의 어로권을 인정하여 조선 어민의 피해가 컸다. 1891년 제주도에서 일본 어민의 출어 금지를 요구하는 민란이 발생하였다.

(5) 방곡령 선포(1889)

일본 상인들이 곡물을 대량으로 수입해 가서 곡물 가격이 폭등했고, 함경도와 황해도 지방에서는 식량이 부족해져 곡물의 수출을 금지하는 방곡령을 내리기도 하였으나, 일본의 항의로 배상금만 물고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다. 이리하여 농촌 경제는 갈수록 피폐해지고, 일본의 경제 침탈에 대한 농민들의 적개심도 커져 갔다.

 

☆ 방곡령

방곡이란 천재지변, 전쟁 등으로 식량 부족이나 곡가 폭등 현상이 발생했을 때 곡물이 타지방이나 타국으로 유출되는 것을 관찰사의 직권으로 금지하는 조치를 말한다. 함경 감사 조병식과 황해도 감사 조병철이 방곡령을 내렸지만 일본에게 1883년에 맺은 조 · 일 통상 장정을 근거로 배상금만 지불하였다.

 

ㅁ. 농민 의식의 성장

(1) 농민의 불만 고조

자본주의 열강의 침탈과 지배층의 착취로 인하여 농촌 경제가 파탄에 이르게 되자, 농민층의 불안과 불만이 더욱 팽배해 갔다.

(2) 사회 변혁 욕구 고조

정치 · 사회적 의식이 급성장한 농촌 지식인과 농민의 사회 변혁 욕구도 높아졌다. 이에 따라 1890년대 초 농민들은 전국 곳곳에서 봉기하였다.

(3) 봉기 양상

농민들은 우선 통문을 돌리고 집회를 열어 지방관에게 억울한 사연을 호소하다 수용되지 않으면 봉기하였다. 봉기한 농민들은 부호나 아전들을 공격하였고, 봉기 지역도 한 개 군현 단위를 크게 넘지 못하였으며, 봉기도 서로 연결되지 못한 채 산발적으로 일어나는 데 그쳤다.

 

ㅂ. 동학의 교세 확장

(1) 교단 조직과 교리 확립

정부의 탄압으로 최제우가 처형된 이후 동학은 잠시 위축 되었지만, 1870년대 후반부터 2대 교주 최시형이 포접제의 교단을 조직화하고, 포교 가사집인 『용담유사』와 경전인 『동경대전』을 편찬하여 교리를 확립하는 등 포교 활동을 활발히 펼치면서, 동학의 교세는 삼남 지방을 중심으로 크게 확산 되었다.

 

◎ 포접제

동학의 모임 장소인 접소에 책임자인 접주를 두고, 전국을 포와 접으로 나누어 관리한 동학의 교단 조직을 말한다.

 

(2) 교세 확산

경전을 정리하고 포교 조직도 만들어 내실을 다진 동학의 교세는 1880년대 들어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경기도까지 급격히 확산되었다. 생활에 어려움을 겪던 농민들이 정신적 위안을 얻기 위해 동학에 가입하는 경우도 있었고, 병을 고치거나 배고픔에서 벗어나고자 가입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세상이 바뀌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들어오는 사람들도 있었다.

 

◎ 동학

서학에 대항하는 의식을 가지고 1860년에 경주 잔반 출신인 최제우가 창시한 민족 종교로서 서양과 일본에 대한 저항 의식과 함께 양반 사회의 권위를 부정하였다. 민족 종교로서 반외세적, 반봉건적인 성격은 농민층과 몰락한 양반에게 환영을 받았다.

 

(3) 대규모 농민 운동으로 발전

모든 인간은 평등하고 귀천이 없다는 인내천사상과 외세를 배척하는 사회 개혁 사상은 지주들의 수탈과 외세의 경제 침탈에 시달리던 삼남지방의 농민들에게 급속히 확산되었다. 이처럼 동학은 새로운 사회로의 변화를 갈망하는 농민의 요구에 부합되었기 때문에, 종래 산발적이고 지역 단위를 넘어서지 않았던 농민항쟁을 국가를 대상으로 한 전면적 농민 전쟁으로 바뀌어 갔다. 이는 동학의 평등 사상과 교단 조직이 큰 역할을 하였다.

반응형

'한국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학 농민 운동 3  (0) 2022.04.18
동학 농민 운동 2  (0) 2022.04.15
조선 중립론의 대두  (0) 2022.04.13
갑신정변 2  (0) 2022.04.12
갑신정변 1편  (0) 2022.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