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공부

동학 농민 운동 4

후니 NO.1 2022. 4. 19. 17:55
반응형

1. 제2차 농민 봉기(농민군의 재봉기, 반외세 · 항일 구국 투쟁 : 1894. 9~ 1895. 1)

ㄱ. 원인

일본이 청 · 일 전쟁을 일으키면서 내정을 간섭하고 일본군이 농민군을 진압하기로 결정하였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위기의식을 느낀 농민군은 9월 삼례에서 반침략의 기치를 들고 다시 봉기하였다.

 

☆ 청 · 일 전쟁(1894~1895)의 결과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시모노세키 조약을 맺어 조선에 대한 청의 종주권을 철회하게 하고, 랴오둥 반도와 타이완을 할양받고 중국의 개항장에서 일본인의 기업 활동을 보장받았다. 이로써 일본은 조선에 대한 배타적 지배가 가능했을 뿐만 아니라 중국에까지 뻗쳐 제국주의 열강의 대열에 합류하게 되었다.

 

ㄴ. 동학 교단 가담

전봉준은 삼례에 동도 창의소를 설치하고, 전라도 전역에 일본군 타도를 위한 격문을 돌렸다. 그리고 동학 교주 최시형의 동의를 얻어 그 산하 전국의 동학 조직까지 합류시켰다. 이로써 동학의 순수 종교 활동만 주장하며 제1차 봉기 때 불참했던 교단 지도부와 충청도 · 경상도 등지의 교도들도 가담하였다.

ㄷ. 남 · 북접 농민군의 연합

이에 전라도와 충청도 전역은 물론 경상도, 강원도, 경기도, 황해도 등 전국 각지에서도 동학 농민군이 봉기하여 그 규모는 수십만 명에 이르렀다. 그동안 봉기에 반대하였던 손병희의 북접군도 참여하기로 하고 청산에서 옥천을 거쳐 논산으로 향하였고, 전봉준의 남접군은 서울 진격을 위해 삼례에서 논산으로 진군하였다. 그리하여 손병희가 이끄는 충청도 북접군과 정봉준이 이끄는 전라도 남접군이 논산에서 합류(1894. 10)하였는데, 남북접군은 그 수가 약 5만 명에 이를 정도였다. 

ㄹ. 공주 우금치 전투(1894. 11)

병력을 나누어 곳곳에 배치한 후 전봉준과 손병희는 직접 2만여 명을 이끌고 공주 근처까지 갔다. 일본군을 몰아내고 친일 정부를 타도하기 위해 서울로 올라가려던 1만여 명의 동학 농민군은 공주 우금치에서 관군과 일본군의 연합군에 맞서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그러나 근대식 무기와 전술로 무장한 일본군에 패배하고 말았다.

ㅁ. 농민군의 희생

공주 우금치에서 패한 농민군은 여러 지역에서 일본군과 정부군을 상대로 끈질긴 항전을 벌였으나, 지방 양반과 아전들이 조직한 민보군이 진압군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함께 농민군을 공격하여 많은 희생이 따랐다. 

ㅂ. 동학 농민 운동의 종결

진압군의 소탕 작전으로 결국, 동학 농민군은 전라도 남단인 광양, 순천, 장흥, 강진, 해남, 나주로 내몰려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이듬해 나머지 농민군마저 진압되어 동학 농민 운동은 막을 내렸다(1895. 1). 당시 농촌에서 불린 '새야새야 파랑새야' 라는 민요에는 동학 농민 운동의 실패에 대한 안타까움이 담겨 있다. 이후에도 동학의 지도자들은 3 · 1 운동과 임시 정부 활동 등 항일 운동을 이끌었다.

 

2. 동학 농민 운동의 성격과 영향

ㄱ. 동학 농민 운동의 성격

(1) 반봉건적 · 반침략적 민족 운동

안으로는 봉건적 지배 체제에 반대하여 신분제 폐지, 삼정 개혁 등 봉건 체제의 개혁을 요구하고, 밖으로는 외세의 침략을 물리치려고 한 아래로부터의 반봉건적 · 반침략적 민족 운동 성격을 띠고 있었다.

(2) 역사상 최대 규모의 농민 운동

동학 농민 운동은 농민들이 동학의 조직을 이용하여 조선 사회를 변혁하고 외세의 침략에 맞서려고 하였던 역사상 최대 규모의 농민 운동이었다. 비록, 개화파 정권에 비판적이였고, 침략국인 일본에 대하여 저항하는 반침략적 성격으로 인하여, 당시 집권 세력인 양반 지배층 및 정부의 탄압과 일본의 개입으로 실패하였지만, 이후 농민의 사회 개혁 운동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ㄴ. 동학 농민 운동의 영향

(1) 갑오개혁(1894)에 반영

동학 농민 운동은 안으로 정치와 사회 개혁을 이루고 밖으로 외세의 침략을 물리쳐 나라를 지키고자 한 농민 항쟁이었다. 따라서 농민군들이 주장한 양반 중심의 사회 질서에 대한 개혁 요구는 정부가 추진한 근대적 개혁인 갑오개혁에 부분적으로 반영됨으로써 새로운 질서의 성립을 촉진시켰다.

(2) 의병 운동 가담

동학 농민군의 잔여 세력이 을미의병(1895)에 가담함으로써, 반침략 항일 투쟁의 토대를 마련하여 반외세 민족 운동을 전개하였다.

(3) 항일 의병 투쟁 참여

1900년 전후에는 영학당, 활빈당 등 무장 결사 조직에 가담하여 반봉건 · 반외세 민족 운동에 적극 나섰으며, 을사늑약 이후에는 치열한 항일 의병 투쟁을 전개하였다.

(4) 한계

동학 농민 운동은 근대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 한계성을 지니고 있었다.

 

※ 동학 농민 운동의 전개 과정

삼례 집회(1893. 4) → 복합 상소(1893. 3) → 보은 집회(1893.4) → 금구 집회(1893. 4) → 밀양 집회(1893. 4) → 고부 농민 봉기(1894. 2) → 4대 행동 강령 발표(1894. 4) → 황토현 전투(1894. 5) → 전주 화약(1894. 6) → 집강소 설치(1894. 6) → 교정청 설치(1894. 7) → 일본군 경복궁 점령(1894. 7) → 청 · 일 전쟁(1894. 7) → 군국기무처 설치(1894. 7) → 동학 농민군의 재봉기(1894. 10) → 우금치 전투(1894. 12) → 홍범 14조 반포(1895. 1) → 전봉준 사형(1895. 4)

반응형

'한국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오개혁 2  (0) 2022.04.21
갑오개혁 1  (0) 2022.04.20
동학 농민 운동 3  (0) 2022.04.18
동학 농민 운동 2  (0) 2022.04.15
동학 농민 운동 1  (0) 2022.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