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사 공부 77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과 국내 무장 항일 투쟁

1.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 ㄱ. 배경 (1) 비밀 결사 조직 6 · 10 만세 운동 이후 학생 운동은 항일 민족 운동의 중심으로 부상하였다. 학생들은 각종 항일 비밀 경사를 조직하여 학생 운동을 위한 토론과 학습을 전개하였다. 당시 전국 각지의 중등학교에는 독서회 등이 다수 조직되어 있었으며, 광주 지역의 경우 성진회라는 비밀 결사 조직이 있었다. 또한, 1929년에는 광주의 각 학교 독서회를 지도하는 독서회 중앙 본부가 조직되었다. (2) 동맹 휴학 1920년대에는 학생들의 동맹 휴학이 꾸준하게 일어났다. 초기에는 학내 문제가 주류를 이루었지만, 후반에는 식민지 노예 교육 철폐, 한국 역사 및 한국어 교육 허용, 학생회의 자치 허용, 언론 · 집회 자유 등을 요구하는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특..

한국사 공부 2022.05.25

항일 운동(신간회)

1. 신간회 결성 ㄱ. 배경 1926년 7월, 비타협적 민족주의 세력과 일부 사회주의 세력이 연합하여 조선 민흥회를 만들었으며, 11월에는 사회주의 단체인 정우회가 '정우회 선언'을 통해 비타협적 민족주의자와 민족 협동 전선을 만들 것을 제안함으로써, 비타협적 민족주의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 간의 연합 분위기가 고조되었다. ㄴ. 결성 조선 민흥회에 속한 민족주의자들이 사회주의 세력이 제안한 민족 협동 전선을 받아들임으로써 일제 강점기 국내의 대표적인 민족 협동 전선이자, 최대 규모의 항일 단체인 신간회가 창립(1927)되었다. ㄷ. 창립 대회 일제 축출을 목표로 이념과 노선을 초월하여 민족 유일당을 건설한 언론계 · 불교계 · 천도교계 · 기독교계 등 비타협적 민족주의 진영과 사회주의 진영의 대표들은 19..

한국사 공부 2022.05.24

항일 운동 4(민족 유일당 운동)

1. 민족 유일당 운동 ㄱ. 다양한 민족 운동의 전개 (1) 배경 3 · 1 운동 이후 국내에 보급된 사회주의 사상으로 민족 운동이 다양하게 전개되면서 한층 고양되었다. (2) 국내외의 민족 운동 국내에서는 수많은 사회 운동 단체가 출현하여 독립 의식을 고취하였고, 국외에서는 독립군의 무장 투쟁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3) 학생들의 민족 운동 학생들은 독서회 등 비밀 모임을 결성하여 식민지 노예 교육의 철폐 등을 내걸고 동맹 휴학의 방법을 적극적인 투쟁을 전개하였다. (4) 혁명 단체들의 민족 운동 사회주의와 무정부주의 영향을 받은 혁명 단체들은 일제 타도를 목표로 다양한 활동을 시작하였다. ㄴ.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의 민족 운동 (1) 민족주의 계열의 민족 운동 민족주의 계열은 물산 장려 운..

한국사 공부 2022.05.23

항일 운동 3

1. 3 · 1 운동 이후 민족 운동 ㄱ. 다양하게 전개된 민족 운동 (1) 임시 정부 수립 3 · 1 운동 이후 국외에서 민족의 대표 기관인 임시 정부가 수립되어 독립운동의 중추 역할을 담당하게 됨으로써 민족 운동은 더욱 적극적으로 전개되었다. (2) 외교 독립운동 미국 · 영국 · 소련 등 서양 열강의 지원 아래 독립을 이루려는 외교 독립운동이 활발하게 추진되었다. (3) 무장 투쟁 운동 평화적인 시위나 외교 활동만으로는 독립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젊은이들이 적극적으로 독립군에 가담함으로써 무장 투쟁도 더욱 치열해졌다. (4) 실력 양성 운동 외교 독립운운동이 별로 성과가 없자, 경제 · 문화 방면에서 민족의 힘을 키우려는 실력 양성 운동이 전개되었다. (5) 대중적 민족 운동 3 · 1 운동을 통해..

한국사 공부 2022.05.22

항일 운동 (국외 독립군 기지)

1. 국외 독립군 기지 건설 ㄱ. 국외 독립군 기지 건설의 배경 1908년에는 의병 연합 부대의 서울 진공 작전이 실패하였고, 1909년에는 일제의 남한 대토벌 작전이 전개되면서 1910년을 전후하여 많은 의병과 애국지사들은 근거지를 만주와 연해주 등 국외로 옮겼다. ㄴ. 북간도 지역의 무장 독립 전쟁 준비 (1) 한인 집단촌 형성 북간도 지역은 전체가 거대한 독립운동 기지와 같았다. 이 지역은 19세기 후반부터 수십만 명의 동포들이 이주하여 주민의 80%를 차지할 정도였고, 일찍부터 용정촌, 명동촌 등 많은 한인 집단촌이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독립운동 기지를 세우기에 유리하였다. (2) 독립군 양성을 위한 기반 조성 독립운동을 위해 이곳으로 옮겨온 민족 지도자들은 동포들의 결속을 다지고 민족 교육과 ..

한국사 공부 2022.05.20

항일 운동

1. 1910년대 국내외의 민족 운동 ㄱ. 의병 투쟁의 지속 (1) 국권 피탈 이후 1910년 일제에 국권을 강제로 빼앗긴 뒤에도 독립운동은 꾸준히 전개되었다. 일제는 각종 악법과 조선 태형령 등을 제정하여 탄압과 감시를 하였지만, 국내의 독립운동 열기는 가라앉지 않았다. (2) 무단 통치 시기 일제의 침략에 맞서 치열하게 저항하던 의병 부대들은 헌병 경찰을 앞세운 무단 통치로 일본군의 강력한 탄압에 직면하자, 국내에서 지속적인 무장 투쟁이 어렵다고 판단한 일부 의병 부대들은 만주나 연해주로 이동하여 정기적인 독립 전쟁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국내에 남아 있던 애국지사들은 비밀 결사를 조직하여 항일 운동을 이어갔다. ㄴ. 마지막 의병 투쟁 (1) 항일 투쟁 소강 국권을 빼앗긴 뒤에도 계속되었던 국내의 애국..

한국사 공부 2022.05.20

대한민국 임시 정부 3

1. 임시 정부의 시련과 재정비 ㄱ. 임시 정부의 시련 (1) 자금난과 인력난 임시 정부는 1920년대 중엽을 고비로 일제의 감시와 탄압으로 연통제와 교통국의 발각되어 조직이 철저히 파괴되었고, 이로 인해 국내로부터의 지원이 줄어들어 자금난과 인력난을 겪게 되었다. 또한, 주안점을 두고 추진하였던 외교 활동도 강대국의 외면으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2) 사상 대립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중국 관내 · 만주 · 연해주 · 미주 지역과 국내의 독립운동 세력이 참여와 지지가 있었고, 이념적으로도 민족주의 계열뿐만 아니라 사회주의 세력도 일부 참여하였으며, 노선 면에서도 이동휘 계열의 무장 투쟁론자 · 안창호 계열의 실력 양성론자 · 이승만 계열의 외교론자 등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진 인물들이 참여하고 있..

한국사 공부 2022.05.19

대한민국 임시 정부 2

1. 임시 정부의 활동 ㄱ. 임시 정부의 역할 (1) 독립운동의 중추 기관 초기의 임시 정부는 온갖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국내외의 민족 독립운동을 조직적이고 효과적으로 추진하는 중추 기관의 역할과 임무를 담당하였다. (2) 주권을 대표하는 정부 기능 자유주의와 공화주의를 기본 이념으로 표방한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우리 민족의 주권을 대표하는 정부로 기능하게 하였으며, 일제 강점기에 독립운동을 통할하는 중심 기구로서의 역할도 수행하였다. ㄴ. 임시 정부의 주요 활동 (1) 비밀 행정 조직망 구축 임시 정부의 연통제와 교통국은 국내외를 연결하는 비밀 행정 조직망으로서 독립 운동독립운동 자금 모금과 정보 수집에 기여하였다. 따라서 우리 민족은 누구나 이들 조직을 통하여 독립운동에 참가할 수 있는 길이 마련되었고..

한국사 공부 2022.05.18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

1. 임시 정부의 수립 ㄱ. 수립 배경 (1) 단일한 지도부 필요성 우리 민족은 3 · 1 운동 이전부터 효율적인 독립운동의 지도와 이후 조직적인 독립운동을 전개하고, 국민 국가 건설을 효과적으로 준비하기 위해 정부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당시 국내외에서 활동하고 있던 민족 지도자들은 일제의 삼엄한 감시와 상호 연락의 어려움으로 단일 정부를 수립하지 못하고 있었다. (2) 임시 정부의 구성 그러다 3 · 1 운동의 열기에 힘입어 민족을 대표하는 임시 정부가 국내외의 여러 지역에서 각각 수립되었다. 3 · 1 운동이 지역과 계층을 뛰어넘어 전개되었듯, 임시 정부들은 모두 인민이 평등하고 인민에게 주권이 있는 민주 공화정을 지향하였다. ㄴ. 국내외의 여러 임시 정부 수립 (1) 대한 국민 의회(1919..

한국사 공부 2022.05.16

3 · 1 운동(2)

1. 3 · 1 독립 선언 강점 이후 일제의 무단 통치로 세력이 크게 위축되었던 민족 지도자들은 제1차 세계 대전 종료와 함께 제창된 민족 자결주의와 도쿄에서 일어난 2 · 8 독립선언에 고무되어 독립운동을 준비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은 민족 대표 33인의 이름으로 독립 선언서를 발표하고, 국내외에 독립을 선언하였다(1919. 3. 1) ㄱ. 연합 전선의 구축 초기에 각 계파가 별도로 추진하고 있던 민족 운동 계획은 2 · 8 독립 선언서를 계기로 급속하게 촉진되었으며, 이를 일원화하여 각계가 연합 시위를 전개함이 마땅하다고 판단하였다. 먼저 천도교 측이 기독교계에 제안하여 찬동을 받았고, 한용운을 중심으로 한 불교계도 시위에 동참할 것을 통보하였다. 독자적으로 독립운동을 추진하여 오던 학생들도 천도교와 ..

한국사 공부 2022.05.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