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86

붕당 정치의 변질 1

1. 변질의 배경 ㄱ. 사회 경제적 변화 17세기 후반 이후 상품 화폐 경제가 발달함에 따라 정치 집단 사이에서 상업적 이익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이를 독점하려는 경향이 커졌다. ㄴ. 정치적 쟁점의 변질 정치적 쟁점도 예론과 같은 사상적인 문제에서 군사력과 경제력 확보에 필수적인 군영을 장악하는 것으로 옮겨갔다. ㄷ. 향촌 사회의 변동 향촌 사회에서는 지주제와 신분제의 동요에 따라 사족 중심의 향촌 지배가 어렵게 되어 붕당 정치의 기반도 무너지게 되었다. 2. 변질의 양상 ㄱ. 일당 전제화 숙종(1674~1720) 때에 이르러 붕당 사이의 견제와 균형을 유지하던 붕당 정치 형태가 무너졌다. 정국을 주도하는 붕당과 견제하는 붕당이 서로 교체됨으로써 정국이 급격하게 전환하는 환국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서인..

한국사 공부 2022.03.28

북벌 운동과 나선 정벌

1. 북벌론의 대두 ㄱ. 청과의 관계 병자호란이 끝나고 청과 군신 관계를 맺은 조선은 겉으로는 청에 사대의 예를 취하는 형식의 외교를 추진했다. 그러나 내심으로는 청을 배척하여 은밀하게 국방에 힘을 기울이면서 청에 보복할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ㄴ. 북벌 준비 (1) 효종 청에 볼모로 잡혀 갔다가 돌아와 왕위에 오른 봉림 대군(효종)은 적극적인 북벌 운동을 전개하였다. 청에 반대하는 입장을 강하게 내세웠던 송시열(효종의 스승), 송준길, 이완 등의 서인 세력을 중용하여 친청파 대신들을 제거하였으며, 어영청 등 군대를 양성하고 성곽을 수리하는 등 북벌을 준비했다. 그러나 청의 세력이 점점 커지고 늘어나는 군비로 재정이 어려워진데다가 효종이 죽자 북벌 계획은 중단되고 말았다. (2) 숙종 청의 정세 변화를 ..

한국사 공부 2022.03.27

병자호란

1. 병자호란(인조 14년, 1636) ㄱ. 원인 (1) 청의 군신 관계요구 이후 후금은 세력을 더욱 확장하여 국호를 청이라 고치고, 심양을 수도로 정한 뒤 스스로 황제라 칭하면서 조선에 대하여 군신 관계를 요구해 왔다. (2) 주화론과 주전론의 대립 군신 관계를 맺자는 청의 요구에 조선에서는 국가의 안위를 위해 외교적 교섭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자는 주화론과 청의 요구에 굴복하지 말고 전쟁까지도 불사하자는 주전론이 대립하였다. ☆ 주전론과 주화론 구분 주전론 주화론 주장 명분론에 입각하여 청의 압력에 즉시 물력으로 응징하자고 주장 외교 담판으로 청의 침략을 저지한 다음에 내정 개혁을 통해서 국력을 키우자는 현실론 주장 성향 내의 명분 중시, 화이론 현실적, 실리적 사상 성리학 성리학, 양명학 인물 김상..

한국사 공부 2022.03.26

광해군의 중립외교

1. 광해군의 중립 외교 ㄱ. 대륙 정세의 변화 (1) 후금 건국 임진왜란을 겪는 동안에 조선과 명의 힘이 약화된 틈을 타서 압록강 북쪽에 살던 건주위 여진의 추장 누르하치가 만주 지역에 흩어져 있던 부족을 통일하고 후금을 건국하였다.(1616) (2) 명의 원군 요청 계속하여 서쪽으로 세력을 확장하던 후금은 쇠약해진 명에 대하여 전쟁을 포고하였다. 이에 명은 후금을 공격하는 한편 조선에 원군을 요청하였다. ㄴ. 광해군의 실리 외교 (1) 전후 복구 정책 왜란 중에 의병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였던 대북파가 그 여세를 몰아 광해군을 추대한 후 권력을 잡아 북인 정권을 성립시켰다. 왜란 후 피폐해진 국내 사정과 후금이 새롭게 성장하는 국제 정세의 변동 속에서 왕위에 오른 광해군은 전쟁의 뒷수습을 하고 민생..

한국사 공부 2022.03.25

임진왜란 3

1. 왜란의 영향 ㄱ. 왜란의 승리 요인 (1) 잠재적 역량 우월 왜란에서 우리가 승리를 거둘 수 있었던 것은 우리 민족이 지닌 잠재적 역량이 우월했기 때문이다. 즉, 관군 차원의 우리 국방 능력은 일본에 뒤졌으나, 전 국민적인 차원의 국방 능력은 일본을 능가하였다. (2) 문화적 우월감 우리 민족은 신분의 귀천이나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문화적인 우월감에 가득 차 있어서 자발적인 전투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런한 정신력이 국방 능력으로 작용하여 왜군을 격퇴시킬 수 있는 힘이 되었다. (3) 무기와 전술 우수 조선 수군은 배와 대포의 성능에서 일본을 능가하였고, 화공술이 뛰어났다. ㄴ. 국내적 영향 (1) 정치적 영향 왜란 중(1594)에는 훈련도감을 설치하여 삼수병을 두고 무예를 조련하였으며, 지방에도..

한국사 공부 2022.03.23

임진왜란 2

1. 의병의 승리 ㄱ. 의병의 성격 이 무렵 전국 각지에서 자발적으로 조직된 의병이 왜군과 싸워 향촌 사회를 지켜냈다. ㄴ. 의병의 구성 의병은 주로 전직 관리와 사림양반 그리고 승려들이 조직하고 지도하였으나, 그 중심에는 목숨을 걸고 싸운 농민들이 있었다. ㄷ. 의병의 전술 곽재우, 조헌, 유정 등의 의병장들은 향토 지리에 밝은 이점을 활용하고 그에 알맞은 유격 전술을 구사하여 적은 병력으로도 왜군에게 큰 타격을 주었다. ㄹ. 관군에 편입 전란이 장기화되면서 산발적으로 일어난 의병 부대는 이후 관군에 편입되어 조직화되었고, 관군의 전투 능력도 한층 강화 되었다. ㅁ. 주요 의병장의 활약 의병이 처음 일어난 곳은 왜군이 가장 먼저 침입한 경상도 지역이다. (1) 정문부 함경도 경성에서 거병하여, 경성 ·..

한국사 공부 2022.03.22

임진왜란 1

1. 왜란 직전의 정세 ㄱ. 조선의 정세 (1) 조 · 일 관계의 변화 15세기에 비교적 안정되었던 일본과의 관계는 16세기에 이르러 대립이 격화되었다. (2) 왜구 약탈 증가 일본인의 무역 요구가 더욱 늘어난데 대하여 조선 정부의 통제가 강화되자, 이에 반발하여 일본인들은 중종 때의 3포 왜란(1510)이나 명종 때의 을묘왜변(1555)과 같은 소란을 자주 일으켰다. ☆을묘왜변 3포를 개항한 이후 왜인들은 약조를 지키지 않고 자주 소란을 피웠다. 특히, 1555년(명종 10년)에는 왜인들이 70여 척의 배를 몰고 전라남도 연안 지방을 습격 해왔다. 정부는 관군을 보내 이를 토벌하고 국교를 단절 하였으며, 군제를 제승방략 체제로 전환 하고 비변사를 상설 기구화 하였다. (3) 정부의 대응책 조선으 비변사..

한국사 공부 2022.03.21

조선의 정치 4 (붕당 정치 3)

1. 붕당 정치의 배경과 원리 ㄱ. 붕당 정치의 배경 사림들은 강력한 훈구 세력과 대결할 때는 단결하였으나 훈구 세력이 무너진 뒤에는 자체 분열하여 학연과 지연을 바탕으로 붕당이 생기고 붕당 간에 치열한 정권다툼이 벌어지게 되었다. ㄴ. 붕당 정치의 원리 (1) 견제와 협력 처음에는 상대 붕당을 소인당으로 자기 붕당을 군자당이라고 주장하였으나 선배 사림이 물러난 뒤에는 붕당을 모두 군자당으로 보고 붕당 간의 견제와 협력을 바탕으로 하는 붕당 정치가 전개 되었다. 재야 사림의 의견까지 폭넓게 수렴함으로써 재야에서 공론을 주도하는 지도자인 산림이 출현하였고, 서원이나 향교가 지방 사족의 의견을 모으는 수단으로 기능하였다. (2) 공론 중시 붕당 정치는 합좌 기구인 비변사를 통하여 의견을 수렴하는 공론(붕당 ..

한국사 공부 2022.03.20

조선의 정치 3 (붕당 정치 2)

1. 붕당 정치의 전개 ㄱ. 선조(1567~1608) ① 초기 기성 사림의 신망을 받던 심의겸과 신진 사림의 지지를 받던 김효원 사이에 이조 전랑직의 대립으로 붕당이 발생하여 동인과 서인이 나뉜 후 처음에는 동인이 우세한 가운데 정국이 운영되었다. ② 동인의 분당 정여립 모반 사건(기축옥사, 선조22년 1589)과 정철의 건저의(왕세자 책봉을 둘러싸고 동인과 서인 사이에서 일어난 분쟁) 상소문제 등이 계기가 되어 남인과 북인으로 나뉘었다. ㉠ 남인 온건파(정철의 귀양 주장)로서 처음에 정국을 주도하였으며, 학파적으로 이황계가 중심을 이루었다. ㉡ 북인 급진파(정철의 사형을 주장)로서 임진왜란이 끝난 뒤 집권하여 광해군 때까지 정국을 주도하였으며, 학파적으로 조식 계가 중심을 이루었다. 임진왜란 당시 북인..

한국사 공부 2022.03.18

조선의 정치 2편 (붕당 정치 1)

1. 붕당의 시대적 배경 ㄱ. 사림 세력의 성장 선조가 즉위하면서 그동안 향촌에서 세력 기반을 다져오던 사림 세력이 대거 중앙 정계로 진출하여 정국을 주도하게 되었다. 훈구 대신들이 중앙 정계에서 사라지게 되면서 정치는 예전과 다르게 운영되었다. 언론을 담당하는 관청의 활동이 훨씬 자유로워져, 관직이 낮아도 나랏일을 비판할 수 있게 되었다. 여론을 수집하여 정책에 반영하고자 노력하였고 올바른 정치가 무엇인지 찾으려는 연구도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ㄴ. 사림 세력 내의 갈등 ①원인 선조(1567~1608)때에 이르러 명종(1545~1567) 때의 외척 정치의 잔재를 청산하는 문제를 둘러싸고 사림 간의 갈등이 일어났다. 즉, 사림 세력은 외척 정치의 잔재 청산을 놓고 훈구라도 믿을 만한 인물과는 협력해야 한다..

한국사 공부 2022.03.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