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세조(1455~1468)
ㄱ. 세조의 집권
세종 이후 병약한 문종(1450~1452)이 일찍 죽고 나이 어린 단종이 즉위하면서 왕권이 크게 약화 되었고, 정치의 실권은 김종서, 황보인 등 재상에게 넘어갔다. 이에 수양대군은 정변을 일으켜 김종서 등을 몰아내고 왕위에 올랐다.
※역사알기
계유정난(1453)
수양대군이 한명회, 권람 등과 쿠테타를 일으켜 단종의 보좌세력인 원래 대신 황보인, 김종서 등 수십 명을 살해, 제거하고 정권을 잡은 사건이다. 이를 계기로 수양대군은 정권과 병권을 잡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정난공신과 좌익공신이란 훈호를 공신들에게 부여하였다.
ㄴ. 단종 복위 운동
수양대군 추종 세력인 정인지, 신숙주 등에 의해 1455년에 수양대군이 왕으로 추대되고 단종이 폐위되자 사육신(성삼문, 이개, 박팽년, 하위지, 유성원, 유응부)이 주동이 되어 단종의 복위를 시도하였지만, 동모자의 한 사람인 김질과 그의 장인 정창손의 고변으로 실패하였다.
ㄷ. 6조 직계제 부활
어린 조카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른 세조는 약화된 왕권을 강화하기 위하여 6조 직계제를 다시 시행하여 강력한 왕권을 행사하였다. 이로 인하여 의정부의 정책 결정권은 약화되었다.
ㄹ. 집현전 폐지
공신이나 언관들의 활동을 견제하기 위하여 집현전을 없애고, 경연도 열지 않았으며, 태종 이후 정치 참여를 제한하였던 종친들을 등용하기도 하였다.
ㅁ. 경국대전 편찬 시작
세조는 국가의 통치 체제를 확립하기 위하여 항구적으로 사용할 체계적인 법전을 편찬하려 하였다. 이에 역대의 법전과 각종 명령 등을 종합하여 국가 통치를 위한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을 편찬하기 시작하였다. 경국대전은 성종 때 이르러 편찬 시행되었는데, 이는 건국 이후 계속된 새 나라 건설을 위한 노력이 일단락되었음을 의미한다.
ㅂ. 직전법 실시
퇴직 관료까지 포함하던 과전의 지급 대상도 현직 관료로만 한정하는 직전법을 시행하여 국가의 재정 수입을 늘렸다.
ㅅ. 사회 문화 정책
(1) 사회정책
토관 제도의 실시와 사민정책의 강화, 토지의 고저 측량 기구인 인지의 발명, 물가 조절 기관인 상평창 제도의 부활, 인구를 철저히 파악하기 위해 호패제도와 호적 제도를 강화 시키는 등의 정책을 실시하였다.
(2) 문화정책
궁중에 간경도감을 설치하여 불서를 간행하였으며, 원각사와 원각사 10층 석탑을 건립하였다. 전폐인 팔방통보 및 활자인 을해자와 을유자를 주조하였다. 또한 강희맹으로 하여금 「사시찬요」, 「금양잡록」 등을 간행하도록 하였다.
ㅇ. 국방 강화책
군사제도를 정비하기 위해 보법을 제정하였고, 5위제(중앙군) 및 진관체제(지방체제)를 실시하여 국방을 튼튼히 하였다.
ㅈ. 반란진압
(1) 이시애의 난(1467, 세조 13)
함경도에 대한 지방 차별과 세조의 중앙 집권화에 반발하여 회령부사 이시애가 길주에서 일으킨 반란으로, 이 난의 진압(이준, 남이, 유자광)을 계기로 세조는 왕권을 확고히 하였고, 유향소가 폐지되고, 호패법이 강화되었다.
2. 성종(1469~1494)
ㄱ. 경국대전 완성
성종은 정치 구조와 나라 운영의 기본이 되는 「경국대전」을 편찬하여 반포함으로써 이후 조선 사회의 기본 통치 방향과 이념을 제시하였다. 이로써 합리적인 유교 정치를 지향하였던 조선 왕조의 통치 체제가 확립 되었다. 조선 통치 제도를 성문화한 「경국대전」으로 조선은 백성에 대한 임의적, 관행적 통치에서 벗어나 법전에 근거한 보다 합리적인 국가 운영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ㄴ. 경연의 활성화
집현전을 계승한 홍문관을 두어 관원 모두에게 경연관을 겸하게 함으로써, 정승을 비롯한 주요 관리들도 다수 경연에 참여할 수 있게 하였다. 이로써 경연이 단순한 왕의 학문 연마를 위한 자리가 아니라 왕과 신하들이 함께 모여 정책을 토론하고 심의 하는 중요한 자리가 되었다.
ㄷ. 사림파 등용
세조 이래 비대해진 훈구파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등용하였다.
ㄹ. 숭유억불
유교적 이상 정치를 추구하기 위해 승려의 출가 시키는 도첩제를 폐지하였다.
ㅁ. 유향소 부활
지방의 여론을 수렴하기 위해 유향소을 부활 시켰다.
ㅂ. 관수관급제 실시
국가의 백성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직전법 하에서 관수관급제를 실시하였다.
ㅅ. 독서당 설치
젊고 유능한 문신 관료들의 학문 재충전을 위하여 독서당 제도를 운영하였다.
ㅇ. 원상제 실시
한명회, 신숙주, 구치관 등의 재상들이 승정원에 항상 출근해 왕자와 함께 모든 국정을 상의해서 결정하게 하는 일종의 대리 서무제를 실시하였다.
ㅈ. 편찬 사업
경국대전 외에 지리지인 서거정의 「동국여지승람」, 삼국시대부터 조선초를 아우르는 시문집인 「동문선」, 고조선부터 삼국시대까지의 역사서인 「삼국사절요」, 음악이론서인 「악학궤범」, 고조선부터 고려말까지의 역사를 기록한「동국통감」등을 편찬하였다.
'한국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의 정치 2편 (붕당 정치 1) (0) | 2022.03.17 |
---|---|
조선의 정치 1편 (0) | 2022.03.16 |
조선 왕들의 정책 3편 (세종대왕) (0) | 2022.03.14 |
조선 왕들의 정책 2편(태종 이방원) (0) | 2022.03.12 |
조선 왕들의 정책 1편(태조 이성계, 정종) (0) | 2022.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