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공부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과 국내 무장 항일 투쟁

후니 NO.1 2022. 5. 25. 23:17
반응형

1.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

ㄱ. 배경

(1) 비밀 결사 조직

6 · 10 만세 운동 이후 학생 운동은 항일 민족 운동의 중심으로 부상하였다. 학생들은 각종 항일 비밀 경사를 조직하여 학생 운동을 위한 토론과 학습을 전개하였다. 당시 전국 각지의 중등학교에는 독서회 등이 다수 조직되어 있었으며, 광주 지역의 경우 성진회라는 비밀 결사 조직이 있었다. 또한, 1929년에는 광주의 각 학교 독서회를 지도하는 독서회 중앙 본부가 조직되었다. 

(2) 동맹 휴학

1920년대에는 학생들의 동맹 휴학이 꾸준하게 일어났다. 초기에는 학내 문제가 주류를 이루었지만, 후반에는 식민지 노예 교육 철폐, 한국 역사 및 한국어 교육 허용, 학생회의 자치 허용, 언론 · 집회 자유 등을 요구하는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각급 학교에 조직된 독서회는 학생들의 항일 의식을 고양시키고 동맹 휴학을 주도하였다.

ㄴ. 전개

(1) 발단

이러한 상황에서 1929년 10월 30일 광주의 통학 열차 안에서 일본인 남학생이 한국인 여학생을 희롱하는 사건이 발생하여 양국 학생 간에 충돌이 일어났다.

(2) 확대

사건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일제 경찰이 일본 학생만 두둔하자, 민족 차별과 식민지 교육에 분노한 광주 지역 학생들이 연대하여 1929년 11월 3일 대규모 가두시위를 전개하였다. 일제가 휴교령을 내리고 투쟁에 가담한 학생들을 구속하였지만, 시위는 인근의 나주와 목포로 확산되었으며, 일반 시민들도 시위에 가담하였다. 12월 초부터 학생 시위는 전국으로 확산되어 개성, 인천, 원산 등 주요 지방 도시에서 시위가 일어났다.

(3) 발전

광주에서의 학생 봉기 소식을 들은 서울의 조선 청년 총동맹은 전국의 청년 운동 단체, 학생 단체와 연락하여 전국 각지 학생들의 봉기를 이끌어냈다.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은 약 5개월 동안 전국의 194개교 학생 54,000여 명이 궐기함으로써, 학생들이 앞장서고 시민 · 노동자들이 참여한 3 · 1 운동 이후 최대 규모의 항일 민족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만주에까지 확산되어 이 지역의 민족 학교 학생들도 참가하였고, 일본에 유학한 한국 학생들도 궐기하였다.

(4) 신간회의 조사단 파견

신간회에서는 조사단을 파견하여 학생 시위를 전국적인 대중 운동으로 확산시킬 목적으로 대규모 민중 대회를 개최하려 하였으나 일제가 신간회 간부들을 대거 검거함으로써 중단되었다(민중 대회 사건, 1929. 12).

ㄷ. 후원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이 일반 시민까지 참여하는 전국적 규모의 항쟁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성진회와 독서회 중앙 본부와 같은 광주 지역 비밀 결사의 조직적인 뒷받침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 광주 학생 항일 운동 때의 격문

"학생, 대중이여 궐기하라! 검거된 학생은 우리 손으로 탈환하자. 언론 · 결사 · 집회 · 출판의 자유를 획득하라. 식민지 노예 교육 제도를 철폐하라. 조선인 본위의 교육 제도를 확립하라."
"용감한 학생, 대중이여! 최후까지 우리의 슬로건을 지지하라. 그리고 궐기하라. 전사여 힘차게 싸워라."

2. 국내 무장 항일 투쟁

ㄱ. 동향과 활동 내용

(1) 동향

3 · 1 운동 이후 무장 독립 투쟁은 주로 만주와 연해주를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나, 국내에서도 독립군 부대가 결성되어 일본 군경과 치열한 전투를 전개하였다.

(2) 활동 내용

국내에서 편성된 독립군 부대는 만주의 독립군과 긴밀한 연락을 취하면서 일제의 식민 통치 기관 파괴, 일본 군경과의 교전, 친일파 처단, 군자금 모금 등의 무장 항일 투쟁을 벌여 나갔다.

ㄴ. 대표적인 무장 단체

(1) 보합단(1919)

평북의 동암산을 근거로 무장 활동을 하면서 군자금을 모집하여 임시 정부에 보내는 것과 친일파 처단에 힘썼다.

(2) 천마산대(1919)

3 · 1 운동 이후 최시흥을 대장으로 한말의 군인들이 조직한 독립운동 단체이다. 500여 명의 단원이 평북 천마산을 근거로 유격전을 전개함으로써 상당한 전과를 거두었으며, 만주에 설치된 광복군 사령부와 긴밀하게 협조하였다. 1920년 일본 경찰의 공격을 피하여 만주로 건너가 독립군(대한 통의부)에 편입되었다.

(3) 구월산대(1920)

황해도 구월산을 근거지로 결성된 무장 항일 투쟁 단체이다.

반응형

'한국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립군의 시련, 재정비  (0) 2022.05.27
봉오동 전투(1920. 6)와 청산리 대첩(1920. 10)  (0) 2022.05.26
항일 운동(신간회)  (0) 2022.05.24
항일 운동 4(민족 유일당 운동)  (0) 2022.05.23
항일 운동 3  (0) 2022.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