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공부

탕평론의 시작과 숙종

후니 NO.1 2022. 3. 29. 17:58
반응형

1. 탕평론의 대두 배경

ㄱ. 당평론의 제기

붕당 정치가 변질되면서 붕당 사이의 세력 균형이 무너지고, 공론이 당파의 이익을 대변하게 되었으며, 특정 붕당이 권력을 독점하였다. 붕단 간의 극심한 대립이 왕권까지 위협하게 되자 왕권 자체도 불안해졌다. 이에 강력한 왕권을 토대로 국왕이 정치의 중심에 서서 정치 세력 간의 균형을 유지하려는 탕평론이 제기되었다.

ㄴ. 탕평론의 본질

당평론의 본래 목적은 붕당 간의 세력 균형을 유지하여 왕권을 전제하고 정국을 안정시키려는 것이었다. 정치적 균형 관계가 정립되기 위해서는 각 붕당 사이에서 자율적으로 힘의 균형이 이루어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왕권에 의해 타율적으로 중재 되어야 하였다. 17세기 초에 서인과 남인은 자율적인 공존관계를 형성했으나, 붕당 정치가 변질되면서 왕권에 의한 타율적 방법으로서의 탕평론이 국왕에 의해 주도되었다. 

 

○ 탕평의 의미

탕평이란 『서경』에서 나온 왕도탕탕 왕도평평에서 비롯된 말로, 임금의 정치가 한쪽을 편들지 않고 사심이 없으며, 당을 이루지도 않는 상태에 이르는 것을 의미한다.

 

○ 탕평 정치의 기본 구도

숙종 때에 처음 제기된 탕평론은 영조 때 탕평책으로 정책화하여 자리 잡고 정조까지 계승되었다. ㉠ 숙종의 탕평책 : 능력 중심의 인재 기용과 붕당 사이의 화합을 제창하였다. ㉡ 영조의 탕평책 : 사색 안배를 통한 세력 균형에 중점을 두었다. ㉢ 정조의 탕평책 : 사림의 사기 진작에 초점을 맞추어 정계 구도를 시파와 벽파로 재편하였다.

 

2. 숙종(1674~1720)의 탕평책

ㄱ. 탕평책의 제시

서인에서 갈라진 노론과 소론의 대립으로 정국이 어수선해지자 숙종은 정치적 균형 관계를 재정립할 목적으로 인사 관리를 통하여 세력 균형을 유지하려는 탕평론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군왕과 신하가 한마음으로 절의와 덕행을 숭상하면서 인사 관리를 공정하게 한다면 붕당 사이의 갈등은 자연히 해소될 것이라고 하였다.

ㄴ. 숙종 탕평책의 한계

(1) 명목상 탕평론

숙종의 탕평책은 명목상의 탕평론에 지나지 않아 균형의 원리가 지켜지지 않았다. 붕당 정치의 변질로 노론 중심의 일당 전제가 지속되는 가운데 공론보다 개인이나 가문의 이익을 우선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2) 노론의 일당 전제화

실제로는 공평을 명분으로 특정 붕당을 일거에 내몰고 다른 붕당에 정권을 모두 위임하는 편당적인 인사 관리로 일관하여 환국이 일어나는 빌미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경신환국, 기사환국, 갑술환국(갑술옥사) 등이 이 시기에 일어나 오히려 붕당 간의 대립이 더욱 심해졌다.

(3) 노론과 소론의 대립 격화

이 떄의 잦은 환국은 숙종 말에서 경종(1720~1724)에 이르는 동안에 왕위 계승 문제를 둘러싸고 노론과 소론이 대립하는 지경까지 발전하였고, 경종 때에는 왕세제(영조)의 대리청청 문제로 노론과 소론의 대립이 격화되었다. 결국, 숙종의 탕평책은 노론 중심의 일당 전재화로 실패하였다.

㉠ 병신처분

숙종 42년(1716) 노론이 소론을 제거한 사건으로 이를 계기로 노론이 실권을 장학하였다.

㉡ 정유독대

숙종 43년(1717) 세자 균(경종)이 병약하고 자식을 낳지 못한다는 이유로, 노론의 영수 이이명에게 숙빈 최씨의 아들 연잉군(영조)을 후사로 정할 것을 부탁한 사건을 말한다. 그러나 세자인 균을 지지했던 소론의 반발과 숙종의 와병으로 실패하였다.

㉢ 신임사화

경종(1720~1724) 때 소론은 세제의 대리청정을 발의한 노론을 탄압하고, 신축년(1721)과 임인년(1722)에 걸쳐 노론을 역모로 몰아 제거하고 실권을 잡은 사건을 말한다. 신축년과 임인년에 일어났으므로 신임사화라 한다.

 

○ 기사환국(숙종 15년, 1689)

소의 장씨(장희빈) 소생의 왕자(후의 경종)에 대한 원자정호를 둘러싼 분규로 송시열 등 서인이 축출당하고 이를 지지한 남인이 정권을 장악하였다.

 

○ 갑술환국(숙종 20년, 1694)

남인이 폐비된 인현 왕후의 복위 운동을 반대하다가 화를 당한 사건으로, 복위 운동을 추진한 소론이 권력을 장악하였다. 이 사건으로 남인은 재기 불능의 상태가 되었다.

 

○ 대리 청정

왕을 대신하여 그 후계자로 지정된 왕세자나 고관이 중요한 정무를 처리하는 정치 형태를 말한다. 조선 5대 임금 문종이 병들자 세자 대리 청정을 하였고, 경종 대에는 노론 세력이 왕세제인 연잉군(영조)의 대리 청정을 주창하기도 했고, 영조 대에는 장헌 세자(사도 세자)가 세자 대리 청정을 하면서 노론과 대립을 하기도 하였다.

 

○ 노론과 소론

노론 소론
중심 인물 : 송시열 중심 인물 : 윤증
노장파 소장파
학통 : 이이 사상 계승 학통 : 성혼 사상 계승
주자 중심의 성리학 절대시 → 대의 명분 중시 성리학의 탄력적 적용 → 실리 중시
호락 논쟁 발생 양명학 + 노장 사상 수용
민생 정치 강조 정제두, 강화 학파 형성
자치 자강의 강조 내정 개혁의 추진
정계의 핵심 세력 이인좌의 난 이후 정권 배제
환국으로 일당 전제화 추진 적극적 북방 개척 주장

 

반응형

'한국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조의 탕평정치  (0) 2022.03.31
영조의 탕평정치  (0) 2022.03.30
붕당 정치의 변질 1  (0) 2022.03.28
북벌 운동과 나선 정벌  (0) 2022.03.27
병자호란  (0) 2022.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