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공부

항일 운동 4(민족 유일당 운동)

후니 NO.1 2022. 5. 23. 17:08
반응형

1. 민족 유일당 운동

ㄱ. 다양한 민족 운동의 전개

(1) 배경

3 · 1 운동 이후 국내에 보급된 사회주의 사상으로 민족 운동이 다양하게 전개되면서 한층 고양되었다.

(2) 국내외의 민족 운동

국내에서는 수많은 사회 운동 단체가 출현하여 독립 의식을 고취하였고, 국외에서는 독립군의 무장 투쟁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3) 학생들의 민족 운동

학생들은 독서회 등 비밀 모임을 결성하여 식민지 노예 교육의 철폐 등을 내걸고 동맹 휴학의 방법을 적극적인 투쟁을 전개하였다.

(4) 혁명 단체들의 민족 운동

사회주의와 무정부주의 영향을 받은 혁명 단체들은 일제 타도를 목표로 다양한 활동을 시작하였다.

ㄴ.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의 민족 운동

(1) 민족주의 계열의 민족 운동

민족주의 계열은 물산 장려 운동, 민립 대학 설립 운동 등 실력 양성 운동을 전개하였다.

(2) 사회주의 계열의 민족 운동

사회주의 계열은 노동 운동과 농민 운동 등 사회 운동에 깊숙이 관여하였다. 1925년에 사회주의 세력은 조선 공산당을 결정하였다.

(3) 일제의 분열 정책

민족 운동에 위기를 느낀 일제는 민족 운동을 분열시키고 와해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였다. 자치 운동을 방조하고 은근히 지원하면서 민족주의 세력의 분열을 유도하였고, 치안 유지법을 시행하여 사회주의 세력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을 가하며, 민족주의 진영과 사회주의 진영 간의 대립을 부추겼다.

(4) 분열과 대립의 극복 모색

㉠ 제1차 국 · 공 합작

이러한 상황에서 양 진영의 지도자들은 이념과 노선에 따른 갈등을 해소하고 민족 운동의 대동단결을 제창하였다. 1924년에 중국의 국민당과 공산당이 국내 군벌과 제국주의 세력을 타도하고 중국의 통일을 목표로 한 국 · 공 합작이 성사되었다. 이는 중국 관내에서 활동하던 독립운동가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 민족주의 진영의 분열

민족주의 진영에서는 문화 통치의 영향으로 분열이 일어났다. 이광수는 1924년 1월 동아일보 논설에 자치론으로 불리는 '민족적 경륜'을 게재하여, 일제에 맞서기보다는 일제의 지배를 인정한 다음 자치권을 따내서 실력을 기르자고 주장하였다. 이에 즉각적인 독립을 주장하며 비타협적인 입장을 취한 민족주의자들은 이를 타협의 산물이라고 비판하였다.

 

○ 자치 운동

이광수나 천도교 신파 최린, 동아일보를 창간한 김성수 등과 같은 민족주의 계열의 일부 지식인, 지주, 자본가들은 일제의 식민 지배를 인정하고 그 밑에서 정치적 실력 양성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들은 일제의 '문화 통치'에 기대를 걸면서 한국의 자치권을 획득하려는 운동을 전개하였다. 이와 같이 일제와 타협하여 자치권이나 참정권을 얻으려는 움직임은 1930년대 초까지 이어졌지만, 아무런 성과도 얻지 못한 채, 민족주의 세력의 분열만을 초래하였고, 일제의 민족 분열 정책에 이용만 당하였다.

㉢ 조선 민흥회(1926. 7. 8)

이와 같이 이광수의 자치론 등 일부 민족주의 계열에서 일제와 타협적인 경향이 나타나자, 자치 운동에 반대하는 비타협적 민족주의 세력은 사회주의 세력과의 연합을 모색하였다. 이에 따라 물산 장려 운동을 주도하였던 비타협적 민족주의 진영과 서울 청년회의 사회주의 진영의 일부가 연합하여 조선 민흥회를 창립하고, 단일 전선의 결성을 촉구하였다.

㉣ 한국 독립 유일단 북경 촉성회(1926. 10)

국 · 공 합작에 영향을 받은 중국 관내의 독립 운동가들은 자치론과 실력양성론을 타협주의로 규정 · 비판하고, 독립 운동 진영의 단결을 적극 호소한 안창호 등의 노력으로 한국 독립 유일당 북경 촉성회가 창립되었다. 그 후 '민족 혁명의 유일한 전선을 만들라!'는 주장에 따라 중국 각 지역에서 좌우익이 연합한 민족 유일당 촉성회가 조직되었다. 만주에서는 3부 통합 운동이 전개되어 국민부와 혁신 의회가 결성되었다.

㉤ 정우회 선언(1926. 11)

국내에서는 6 · 10 만세 운동을 계기로 사회주의 진영과 민족주의 진영이 단결할 수 있는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조선 민흥회의 결성에 화답하여 일부 사회주의자들은 정우회 선언을 통해 민족주의 전영과의 적극적인 연대를 주장하며 민족주의 세력과의 제휴를 선언하였다. 민족주의 진영에서도 이상재, 안재홍 등 비타협 노선을 걷는 독립 운동가들을 중심으로 자치 운동을 비판하면서 사회주의 진영과의 연대를 통해 민족 운동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반응형

'한국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과 국내 무장 항일 투쟁  (0) 2022.05.25
항일 운동(신간회)  (0) 2022.05.24
항일 운동 3  (0) 2022.05.22
항일 운동 (국외 독립군 기지)  (0) 2022.05.20
항일 운동  (0) 2022.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