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조 2

정조의 탕평정치

1. 강력한 탕평책의 실시 ㄱ. 배경 사도 세자의 죽음과 이를 둘러싼 시파와 벽파 간의 갈등을 경험한 정조는 영조 때보다 더욱 강력한 탕평책을 추진하였다. 벽파의 압력 속에서 세손 때부터 지위가 불안했던 정조는 즉위 후 벽파를 물리치고 시파를 관직에 고루 기용하면서 왕권의 강화를 시도하였다. ㄴ. 외척 세력 제거 정조는 각 붕당의 주장이 옳은지 그른지를 명백히 가리는 적극적인 탕평(준론탕평)을 추진하여, 영조 때에 세력을 키워 정조 집권 초기까지 권세를 누려온 척신 · 환관 등을 제거하였다. 이에 영조 때의 탕평파 대신들을 엄격하게 비판하였던 노론과 소론의 일부와 그동안 정치 집단에서 배제되었던 남인 계열의 시파를 기용하는 탕평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정조도 붕당 사이의 융화나 붕당 자체의 해체에는 성공..

한국사 공부 2022.03.31

탕평론의 시작과 숙종

1. 탕평론의 대두 배경 ㄱ. 당평론의 제기 붕당 정치가 변질되면서 붕당 사이의 세력 균형이 무너지고, 공론이 당파의 이익을 대변하게 되었으며, 특정 붕당이 권력을 독점하였다. 붕단 간의 극심한 대립이 왕권까지 위협하게 되자 왕권 자체도 불안해졌다. 이에 강력한 왕권을 토대로 국왕이 정치의 중심에 서서 정치 세력 간의 균형을 유지하려는 탕평론이 제기되었다. ㄴ. 탕평론의 본질 당평론의 본래 목적은 붕당 간의 세력 균형을 유지하여 왕권을 전제하고 정국을 안정시키려는 것이었다. 정치적 균형 관계가 정립되기 위해서는 각 붕당 사이에서 자율적으로 힘의 균형이 이루어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왕권에 의해 타율적으로 중재 되어야 하였다. 17세기 초에 서인과 남인은 자율적인 공존관계를 형성했으나, 붕당 정치가 변질되면서..

한국사 공부 2022.03.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