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화 정책의 추진 ㄱ. 개화 사상의 형성 (1) 통상 개화론의 발전 흥선 대원군이 집권하여 통상 수교 거부 정책을 추진하던 1860년대, 국내에서는 서구 열강의 통상 요구를 거부하는 입장이 주류였지만, 부국강병을 위하여 서양 문물의 수립이 필요하다는 개화 사상가들도 등장하였다. 이처럼 조선의 일부 지식인들 사이에 표면화된 통상 개화론은 문호 개방을 전후하여 사회 전반에 걸친 개혁론, 곧 개화사상으로 발전해 문호 개방의 바탕이 되었다. (2) 개화사상의 발전 19세기 말에 박지원, 박제가 등 북학파 실학자들은 화이론적 세계관을 비판하면서, 청과의 활발한 교류와 서양의 선진 기술의 적극적인 수용을 주장하였다. 또한, 부국안민을 위해 상공업을 적극 진흥하고, 양반 중심의 사회 질서를 깨뜨려야 한다고 주장..